<건축학개론> 세 개의 아쉬운(?) 장면




<건축학개론>, 가슴을 오래도록 먹먹하게 만든 영화다. 사실 흠잡을 데가 없는 영화라 평할 수 있지만 보는 이에 따라서 아쉬운 점도 많을 것이다. 별로라고 한 사람도 봤고. 개인적으로는 많이 아끼는 영화가 될 것 같다. 그래도 아쉬운 점이 전혀 없지는 않다. 아쉬운 점이라기보다는 아쉬운 '장면' 세 개다. 


1. "쌍년이었다고 하던데.."

승민(엄태웅)의 약혼녀가 서연(한가인)과 승민과 함께 있는 자리에서 승민의 첫사랑에 대한 얘기를 꺼내며 한 말이다. 조곤조곤 대화하다 갑자기 나온 "쌍년"이라는 말에 빵터지면서도 황당했다. "쌍년"이라는 말은 이후에도 계속 승민과 서연의 대화에서 등장한다. 처음 보는 자리에서 제 3자의 손님에게 "쌍년"이라는 단어를 말하는 것은 좀 어색하다. 

그런데 영화가 끝나고 나오면서 영화를 같이 본 친구가 그 점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약혼녀는 처음부터 서연이 승민의 첫사랑이라는 것을 눈치챘고 일부러 "쌍년"이라는 말을 내뱉으면서 괜한 일이 생길 걸 미리 방지했다는 것이다. 이 설명을 들으니 갑자기 그 단어를 말한 이유가 납득이 됐다. 결혼을 하려는 상대의 첫사랑이 찾아왔는데 그 첫사랑이 또 엄청 예쁘고 남편이 쫓아다녔다는데 강력하게 끊어버릴 필요가 있었다. 그럼 이해가 된다. 

그럼에도 아쉬운 건 여전하다. 왜냐하면 아무리 결혼하려는 사람을 안심시키기 위해서였더라도 왜 승민은 약혼녀에게 첫사랑을 "쌍년"이라고 설명해야 했을까. 그렇게 심하게 표현할 필요가 있었을까. 다른 남자와 방에 들어가는 모습이 끝까지 기억에 남아 그렇게 얘기한 것일까. 감독은 인터뷰에서 아들놈에게 "쌍놈"이라고 했던 어머니의 말씀에서 느꼈던 정겨움을 설명한다. 그랬더라도 조금 뜬금 없긴 했다. 


2. "꺼져버려.."

승민(이제훈)이 서연(배수지)에게 하는 대사다. 둘이 본격 연애를 한 것도 아니지만 헤어지자는 말이었다. 이것도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들은 강한 말이라서 당혹스러웠는데 극 속 서연 또한 그렇게 느꼈을 것이다. "아니 얘가 왜 갑자기.. 그리고 어떻게 그런 심한 말을..". 이 말 또한 승민의 입장에서 보면 이해가 간다. 승민처럼 쑥맥인 사람들은 혼자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것을 잘한다. 선배와 함께 방에 들어가는 모습을 본 승민은 얼마나 가슴이 아팠을까. 그리고 그는 서연에 대해 온갖 상상을 했을 것이다. 자기를 가지고 놀았다고 생각하고, 그렇고 그런 애라고 판단했을 것이다. 자존심이 너무 상했기에 서연을 나쁜 애로 만들기 위해 이런 저런 상상을 하면서 미움과 질투심은 더 커졌을 것이다. 그리고 고백을 할 때 연습했던 것처럼 철저하게 복수를 하는 연습도 마음속으로 다졌을 것이다. 서연을 다시 만난 자리에서 그렇게 부풀러진 마음 그대로 표현해버렸고 그것이 나와 극 속 서연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이렇게 생각하면 승민의 그 대사가 이해가 가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그렇게 미움을 부풀려가는 과정을 장면으로 조금만 더 묘사했다면 "꺼져버려"라는 말이 과하게 느껴지지 않았을 것이다. 


3. 나이 든 승민(엄태웅)과 서연(한가인)은 키스하지 말았어야 했다. 

앞서의 두 개가 그래도 납득할 만한 이유를 찾을 수 있다면 키스를 한 점은 아무리 생각해도 아쉽다. 두고두고 아쉬울 것 같다. 서연과 승민은 제주도 집에서 마지막으로 키스를 한다. 그 이후로 서연과 승민이 만나는 장면은 없다. 즉 키스가 마지막 장면이다. 키스를 하지 말았어야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다. 

우선 어린 승민은 어린 서연과 이미 키스를 했다. 물론 납뜩이는 뽀뽀뽀라고 놀렸지만 어쨌든 서로가 기억하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굳이 할 필요가 없었다. 만약 대학 시절에 키스를 하기 직전에 실패를 했었다면 나이가 들어 마지막에 키스를 하면서 관객들은 카타르시스를 느꼈을 수도 있다. 그런데 풋풋한 첫사랑 때의 키스가 있는 상황에서 굳이 키스를 할 필요가 있었을까. 

만약 영화가 막장이 되어 약혼을 취소하고 서연에게로 다시 갔다면 키스를 해도 무방했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의 결말은 결국 서로가 현실을 따르면서 끝이 났다. 어차피 각자의 길을 갈 것이라면 키스 대신 포옹이 무난했을 것이다. 그런데 키스를 함으로써 아련함이 반감되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키스를 하고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버리면 키스 이후의 장면들을 상상하게 한다. 뭘 상상하는지는 지금 상상했으니 알 것이다. 첫사랑의 풋풋함을 말하고 싶은 영화였다면 키스는 참았어야 하지 않을까. 승민이 못 참은 것인가 엄태웅이 못 참은 것인가 감독이 못 참은 것인가. 감독은 이후에 이 장면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고 전한다. 그냥 포옹으로 끝내자는 의견도 많았다고 한다. 그런데 감독은 첫사랑의 완결을 위해서 장면을 포함시켰다고 했다. 그런데 앞서 말했듯이 그건 어린 서연과 승민이 입을 맞추지 못했을 때의 얘기다. 


이 세 가지가 아쉬운 점이지만 영화 전체의 아련함에 비하면 충분히 가려지는 정도다. 나에겐 오랜만에 여운에 괴로웠던 영화다. 평범한 이야기가 되느냐 공감하는 이야기가 되느냐는 필름 하나 차이다. 감독은 평범한 모두의 이야기를 공감가는 우리의 이야기로 만들었다. 그러니 이런 사소한 아쉬운 점은 접어두자.